공부 방법이 좀 멍청했다
어차피 책은 갖고 있는데 책에 있는 내용을 전부 작성할 필요는 없었는데. 각 절이나 단원 별로 중요한 부분만 압축해서 작성하면 됐는데 말이지 이게 능지처참?
- 공부·수험/공부 잡담
- · 2024. 10. 15.
세무조정 유보/마이너스 유보 그래도 한 5% 정도 이해한 듯 1. 익금산입/손금불산입(가산조정) 간, 손금산입/익금불산입(차감조정) 간에 혼용 가능함.책이랑 다르다고 스트레스 받지 말지어다...어차피 가산/차감 조정만 구분할 줄 알면 됨. (결국 법인세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일 뿐이기 때문)2. 각 항목의 세무조정 시 세무조정할 때 조정명은 알아보기만 하면 됨.이것도 책이랑 다르다고 신경쓰지 말 것.어차피 가산/차감 여부와 금액만 중요한 것임. 법인세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일 뿐임. 혼자 책으로 공부하니까 이렇게 시간 낭비도 많이 되고 이해도도 떨어지네 돈 많은 놈들 부럽다. 공부도 편하게 하고 ㅋㅋ
어차피 책은 갖고 있는데 책에 있는 내용을 전부 작성할 필요는 없었는데. 각 절이나 단원 별로 중요한 부분만 압축해서 작성하면 됐는데 말이지 이게 능지처참?
전산세무 2급 문제만 줄창 풀다가 전산세무 1급 빈출유형노트 잠깐 훑어보는데 걍 기존 재무회계/원가회계/부가세/소득세(원천제세)모든 부분에서 문제 난이도가 걍 레베루가 다름;;기존 전산세무 2급 수준에 법인세만 추가된다고 착각하고 있었음;;;; 이거 지금 남은 기간이 전혀 긴 게 아니다 진짜 매일매일 최대한으로 공부해도 합격할 수 있을지 모르겠음 힘내자
https://hedge-life.tistory.com/category/%ED%9A%8C%EA%B3%84%20%EC%9D%B4%EC%95%BC%EA%B8%B0 '회계 이야기' 카테고리의 글 목록유용한 회계, 경제, 경영, 시사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.hedge-life.tistory.com 주인장님이 글을 잘 쓰셔서 아주 도움이 된다.전산세무 1급 공부 6일차, 너무 어려워서 다시 기초와 특히 유보/마이너스 유보를 좀 명확히 알 필요가 있을 거 같다. 중요한 글 몇 가지1. 법인세 기초설명https://hedge-life.tistory.com/entry/%ED%95%9C%EB%88%88%EC%97%90-%EB%B3%B4%EC%9D%B4%EB%8A%94-%EB%B2%95%EC%9D%B8%EC%84%B8-..
아래 세무사 글이 더 좋음https://blog.naver.com/98120yun/221408119855 접대비한도초과 2,000,000 (..." data-og-host="blog.naver.com" data-og-source-url="https://blog.naver.com/98120yun/221408119855" data-og-url="https://blog.naver.com/98120yun/221408119855" data-og-image="https://scrap.kakaocdn.net/dn/SDMgh/hyXOo2KgA4/kKjyjykfLtBnNI7KIehzh0/img.png?width=270&height=270&face=0_0_270_270"> 법인세 이론 - 8. 세무조정 방식 및 표현(3)..
1. 각 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(세법 취지 등 논리적 이해) 2. 각 세무조정에 필요한 산식 정리 및 암기 (이해하면서 암기) 3. 실제 세무조정 문제 풀면서 익숙해지기
전산회계 2급 : 초등학생전산회계 1급 : 초등학생 이상전산세무 2급 : 중학생 이상전산세무 1급 : 중학생 이상 이런 느낌임. 한국세무사회 홈페이지에서 공식적으로 검정기준에 기재한 바와 달리 단순 시험 난이도만 놓고 봤을 때임책에 있는 모든 내용을 다 물어본다고 하면 난이도가 높아지겠지만,자격증 시험이라는 특성상 어느정도 문제 패턴이 정해져 있기 때문임. 회계/세무가 전공인 대학생들은 ㅈ밥으로 전산세무 1급 합격할 듯떨어지면 버러지 소리 듣는 자격증이기도 함.
전산세무 1급 연간 합격자 수 정리기록이 2008년부터 있어서 2008년부터 작성해보도록 하겠다. 시행연도 : 합격자 수 (합격률)2008년 : 141명 (3.32%)2009년 : 114명 (2.52%)2010년 : 370명 (8.94%)2011년 : 342명 (8.12%)2012년 : 478명 (11.88%)2013년 : 520명 (11.39%)2014년 : 755명 (13.68%)2015년 : 853명 (13%)2016년 : 1,580명 (19.83%)2017년 : 931명 (9.56%)2018년 : 1,501명 (14.54%)2019년 : 1,094명 (8.89%)2020년 : 1,115명 (11.82%)2021년 : 1,359명 (10.35%)2022년 : 1,263명 (11.61%)2023년 :..
일단 용어들이 별 이상한 용어가 많음 시부인, 직부인 등 딱 보면 한자는 한자인 거 같은데 일본에서 썼던 건지구글링해도 제대로 검색결과 나오지도 않고, 책에서도 제대로 설명하지 않음.. 책이 너무 허술함.. 시부인은 시인/부인이라고 쳐도직부인은 도대체 쳐도 뭔 한자인지 나오지도 않고 답답해 죽겠음. 이상하네.. 분명 세무/회계 하는 인간들 겁나 많지 않나?세법이나 세무는 정말 많이들 할텐데 도대체 왜 검색결과도 제대로 안 나오는 거고 용어는 왜 개판인거냐.. 도대체 뭐냐.. 세법이란 건.. ㅡ ㅡ;;
쉬운 회차라 그런가 실제로 시험에서는 회차마다 다르긴 한데 대체적으로 공통매입세액 같은 좀 복잡한 계산은 잘 안 나오는 듯?(그래서 다 까먹음;;;) 아니 근데 채점해보니 또 79점이네 씹;; 언제 90점 넘을래;; 부가가치세신고서랑 연말정산자료입력 좀 안 틀리면 안되냐;;그리고 이론은 왜 3개나 틀리고 지랄;;